휴일근로수당 3

설날에 직원이 일하면 휴일근로수당을 얼마나 줘야 하나요?

직원이 설날에 일해야 할 것 같은데 급여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올해 설날에도 매장을 여실 계획이신가요? 명절에 손님이 많다면 명절 특수를 위해서라도 매장을 열어야 하죠. 게다가 사장님이 연휴 기간 내내 출근하기는 어려워서 아르바이트생들도 필요해요.​그런데 설날에 직원이 일하면 급여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혹시 돈 말고 다른 걸로 대체할 수는 없는 걸까요? 궁금하시죠?​그래서 오늘은 저희 [AI얼마경리]가 연휴를 대비하여 휴일근로수당에 관해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게요.​​1. 휴일근로수당 = 최대 300%만약 설날이나 추석 같이 공휴일에 직원이 일하면 임금을 추가로 지급해야 하는데, 이걸 ‘휴일근로수당’이라고 해요.​[근로기준법 제56조]를 보면 휴일근로수당에 관해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

임시공휴일과 대체공휴일에 휴일근로수당을 지급 안하면 안될까요?

올해 국군의 날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어요. 예정에 없던 공휴일 지정이어서 많은 사업주분이 다소 의아해하셨을 거예요.​임시공휴일은 근로자 여러분에게는 반가운 휴일이지만, 사업주분들은 임금이나 근무시간 등 휴일임에도 신경 써야 할 게 많죠.​그중에서도 가장 어려워하시는 게 바로 임금이에요. 원래 휴일에 일하면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하는데 임시공휴일도 여기에 해당하는지 헷갈리기 때문이죠. ​이와 비슷한 경우가 바로 대체공휴일입니다. 그러다 보니 임시공휴일과 대체공휴일에 일한 알바생에게 휴일근로수당을 꼭 지급해야 하는지 물어보시는 사업주분들이 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얼마경리]와 함께, 임시공휴일과 대체공휴일에 수당을 어떻게 지급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임시공휴일과 대체공휴일도 휴일근로수..

법정/대체공휴일에 근무 시 휴일근로 수당 지급 계산하는 방법

근로자가 공휴일에 휴무하지 않고 근로를 하게 되면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휴일근로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법정공휴일뿐만 아니라 대체공휴일도 엄연히 공휴일이기 때문에 대체공휴일에 출근했다면 휴일근로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데요.​일반적으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같이 규모가 큰 기업이라면 휴일에 일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은 부득이하게 휴일 근무를 해야 하는 상황이 많습니다.​그렇다면 휴일근로 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야겠죠? 휴일 근무에 휴일근로 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기준법에 따라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라면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휴일근로 수당이란?휴일근로 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따라 원래는 쉬기로 약속된 날에 근로를 했을 때..